엑셀을 사용하면서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골라 합계를 내야 할 때가 정말 많죠? 예를 들어, '영업팀'의 실적 합계나 '서울 지점'의 매출 합계를 구해야 할 때처럼요. 저도 처음에는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하나씩 수동으로 더하기도 했는데요, 그때 정말 유용하게 썼던 함수가 바로 SUMIF와 SUMIFS였어요. 이 두 함수만 제대로 알아도 데이터 분석이 훨씬 쉬워진답니다! 😊
SUMIF 함수, 하나의 조건으로 합계를 구하는 방법 💡
SUMIF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조건(IF)을 충족하는 셀들의 합계(SUM)를 구하는 함수예요. 가장 기본적인 형태라 처음 접하시는 분들도 쉽게 배울 수 있어요. 저도 SUMIF로 저희 팀의 월별 지출 합계를 계산하면서 엑셀에 재미를 붙였던 기억이 나네요!
SUMIF 함수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SUMIF 함수 공식 📝
=SUMIF(범위, 조건, [합계를 구할 범위])
- 범위 (range): 조건을 검사할 셀들의 범위를 지정합니다.
- 조건 (criteria): 합계를 구할 대상을 지정하는 조건입니다. "텍스트"나 숫자, 또는 셀 주소를 넣을 수 있어요.
- 합계를 구할 범위 (sum_range): (선택사항) 실제 합계를 낼 숫자들의 범위를 지정합니다. 이 인수를 생략하면 '범위'와 동일한 범위의 합계를 구해요.
예를 들어, 아래 표에서 '사과'의 총 판매량을 구하고 싶다고 해볼게요. 이럴 때는 조건이 '품목'이 '사과'라는 하나뿐이니까 SUMIF를 사용하면 딱이겠죠?
품목 | 판매량 |
---|---|
사과 | 100 |
바나나 | 250 |
사과 | 150 |
이때 함수는 이렇게 쓰면 돼요. =SUMIF(A2:A4, "사과", B2:B4)
. 결과는 250이 나오겠죠? 정말 간단하죠?
SUMIFS 함수, 복수의 조건으로 합계를 구하는 방법! 🎯
SUMIF로 여러 개의 조건을 처리하려면 좀 복잡해지죠. 그때 필요한 게 바로 SUMIFS예요. SUMIF 뒤에 'S'가 붙은 건 '여러 개(S)'의 조건을 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죠. SUMIFS는 두 개 이상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셀들의 합계를 구합니다.
SUMIFS 함수의 공식은 SUMIF와 약간 순서가 달라요. 이걸 헷갈리면 오류가 나니까 주의해야 해요! 제가 처음 엑셀 배울 때 가장 많이 실수했던 부분이기도 합니다. 😅
SUMIFS 함수 공식 📝
=SUMIFS(합계를 구할 범위, 범위1, 조건1, 범위2, 조건2, ...)
- 합계를 구할 범위 (sum_range): (필수) 가장 먼저 합계를 구할 범위를 지정합니다. SUMIF와 순서가 다르죠?
- 범위1 (criteria_range1): 첫 번째 조건을 검사할 범위입니다.
- 조건1 (criteria1): 첫 번째 조건입니다.
- 범위2 (criteria_range2), 조건2 (criteria2): 두 번째 조건을 지정합니다. 필요한 만큼 계속 추가할 수 있어요.
이번에는 아래 표에서 '서울 지점'의 '노트북' 판매량 합계를 구해볼까요? 조건이 '지역'이 '서울 지점'이고, '품목'이 '노트북'인 두 가지예요. 이럴 때 바로 SUMIFS를 사용해야 합니다.
지역 | 품목 | 판매량 |
---|---|---|
서울 지점 | 마우스 | 50 |
부산 지점 | 노트북 | 120 |
서울 지점 | 노트북 | 80 |
함수는 이렇게 작성하면 됩니다. =SUMIFS(C2:C4, A2:A4, "서울 지점", B2:B4, "노트북")
. 결과는 80이 나오겠죠? 조건이 많아질수록 SUMIFS가 얼마나 편리한지 느껴지실 거예요.
SUMIF vs SUMIFS, 한눈에 비교하기 📊
두 함수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표로 정리해봤어요. 이 표만 보셔도 언제 어떤 함수를 써야 할지 감이 오실 거예요.
구분 | SUMIF | SUMIFS |
---|---|---|
조건 개수 | 1개 | 2개 이상 |
인수 순서 | 범위, 조건, 합계 범위 | 합계 범위, 범위1, 조건1, ... |
주요 사용처 | 단일 조건 합계 | 복합 조건 합계 |
SUMIFS는 사실 조건이 하나일 때도 사용할 수 있어요. 그래서 SUMIF 대신 SUMIFS만 익혀두면 더 편리하게 데이터를 다룰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조건을 추가할 수도 있고, 조건이 하나일 때는 그냥 하나만 입력하면 되거든요.
자주 묻는 질문 ❓
SUMIF와 SUMIFS, 이제 두 함수의 차이점을 확실히 아셨죠? 간단한 합계는 SUMIF로, 여러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복잡한 합계는 SUMIFS로 해결해보세요. 이 두 함수만 잘 활용해도 엑셀 작업 시간이 훨씬 단축될 거예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인상, 복지 혜택이 얼마나 늘어날까? (7) | 2025.08.12 |
---|---|
2026년 청년 소득공제 확대: 만 34세까지 60만원 추가 혜택 총정리! (1) | 2025.08.12 |
대주주양도세 국민청원 작성부터 성공까지 완벽 가이드 (4) | 2025.08.08 |
복잡한 대주주 양도 소득세, 소액 투자자를 위한 알기 쉬운 설명 (5) | 2025.08.08 |
유튜브 동영상 다운로드, 가장 쉽고 안전한 방법 총정리 (2025 최신판) (6) | 2025.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