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단열보드는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열 손실을 방지하는 핵심 재료로, 주로 벽·지붕·바닥에 사용됩니다. 주요 유형은 재질과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1. EPS(발포 폴리스티렌) 보드
- 모양: 스티로폼처럼 생겼어요.
- 특징: 가볍고 물에 강해요. 열을 잘 막아줘서 집 안이 따뜻하거나 시원하게 유지돼요.
- 사용 장소: 집의 벽이나 바닥에 많이 써요.
- 팽창 폴리스티렌 비드로 제작된 폐쇄 셀 구조로, 가볍고 습기 저항성이 우수합니다.
열전도율: 약 0.034–0.038 W/mK. 주로 기초·내벽 단열에 활용됩니다. - 난연 / 방염 : 2종 : 난연성 재료이나 난연3급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공하고 있지 못해 소방필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1종 : 가연성 재료이나 준불연 시험성능에 만족하는 준불연비드가 따로 개발되었습니다. - 단점 : 흡수율이 높아 단열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므로, 물이 닿는 부위에 시공이 불가능합니다. 제조후 숙성과정(자연상태에 7주 정도 노출시킨후 시공)이 없으면 휨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에 약하고 쉽게 변형되며 내화학 약품성에 약하므로 스타코 같은 외장재에 권장하지 않습니다.
- 추천 제품:
- 스티로폼 단열재 (비드법 보온판 1종 3호, 4호).
- 듀오HD보드 (현대화학공업)
2. XPS(압출 폴리스티렌) 보드
- 모양: EPS보다 단단하고 매끈해요.
- 특징: 물에 더 강하고 튼튼해서 지하실이나 외벽에 좋아요.
- 사용 장소: 지하실, 외벽, 습기가 많은 곳에 사용돼요.
- * EPS보다 밀도가 높아 강도와 습기 차단성이 뛰어납니다.
* 열전도율: 약 0.029–0.035 W/mK. 지하실·옥외 단열에 적합합니다. - 난연 / 방염 : 난연성 재료이나 난연3급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공하고 있지 못해 소방필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단점 : 비드법 보온판 1종(EPS)보다 가격이 비쌉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단열성능이 저하됩니다. 마감미장의 접착력이 나오지 않으므로 외단열 미장마감공법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햇빛에 노출되거나 바닥마루 등에서 70℃가 넘어가면 2차발포를 하므로 외장재나 마루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때문에 몰탈과 같이 내단열로 쓰이고 스타코 같은 외장마감과 같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추천 제품:
- 아이소핑크 (벽산).
- XPS 압출법 단열재 (다양한 제조사)
3. PIR(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보드
- 모양: 얇고 가벼운 판이에요.
- 특징: 열을 막는 능력이 가장 좋아요. 비싼 대신 효과가 뛰어나요.
- 사용 장소: 건물의 지붕이나 외벽에 주로 써요.
- * 가장 우수한 단열성능으로 알려졌으며(열전도율 0.023 W/mK 미만), 경량·내습성 특징이 있습니다.
* 상업용 지붕·외벽 단열에 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경질우레탄보드"로 불립니다. - 단점 : 원료비 자체가 비싸 가격이 높습니다. 현장 시공시 깔끔한 절단을 위해서 톱을 사용해야 하므로 다른 단열재에 비해 절단이 어렵습니다. 시공방식에 따라 단열성능이 달라집니다. (맞대기방식의 현공법을 사용시 선열교현상이 일어나며 열이 방출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짐) 계절의 변화를 겪으며 수축과 팽창의 현상으로 장기 열 전도율이 상승되어 열 효율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추천 제품:
- 난연 / 방염 : 난연성 재료이나 난연3급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공하고 있지 못해 소방필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준불연 시험성능에 만족하는 준불연경질우레탄보드페놀폼이 따로 개발되었습니다.
- 경질우레탄보드 (PU 보드).
- 현장발포 우레탄
4. 미네랄 울 보드
- 모양: 솜처럼 부드러운 재질이에요.
- 특징: 불에 타지 않고 소리를 막아줘요. 안전한 공간을 만들 때 좋아요.
- 사용 장소: 화재에 강해야 하는 건물이나 방음이 필요한 곳에 사용돼요.
- * 암석·광물 섬유로 제작되며, 내화성과 흡음성이 탁월합니다.
* 화재 안전이 필요한 공간(예: 내화 구조)에 적합합니다. - 단점 : 내단열재로 사용하는 경우 습기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해 시간이 지나면서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 난연 / 방염 : 불연재료 (락울, 암면)
----------------------------------------
선택 시 고려 사항
* 단열성능: PIR > XPS > EPS 순으로 우수합니다.
* 내화성: 미네랄 울이 가장 뛰어나며, PIR/XPS/EPS는 유기질 재료로 화재 시 연소 위험이 있습니다.
* 습기 환경: XPS와 PIR은 습기 저항성이 높아 지하·욕실 등에 적합합니다.
* 한국 시장 현황: RC(철근콘크리트) 건물은 대부분 유기질 단열재(PIR/XPS/EPS)를 사용하며, 최근 PIR의 "준불연" 제품 수요가 증가 중입니다.
5. PF보드란?
LX하우시스(정품) PF보드 1면준불연(내부용) 30T 단열재 - 단열벽지 | 쿠팡
쿠팡에서 LX하우시스(정품) PF보드 1면준불연(내부용) 30T 단열재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단열벽지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PF보드의 주요 특징
- 우수한 단열 성능
- 열전도율이 약 0.020 W/mK로 매우 낮아, 얇은 두께로도 높은 단열 효과를 제공합니다.
- 기존 단열재보다 최대 1/2 두께로 시공 가능해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 화재 안전성
- 준불연(난연 2급) 등급으로,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재 시 유독가스(예: 시안화수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 자기소화 온도가 약 450~500°C로,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 피해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친환경성
- 오존층 파괴 물질인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친화적입니다.
- 화재 시 유독가스 배출이 적어 실내 공기질에도 안전합니다.
- 내구성과 내화성
- 고온에서도 열변형이 적고, 내약품성이 뛰어나 장기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PF보드의 사용 용도
- 건축물 외벽 및 내부 단열
- 지붕 방수 복합 단열재
- 아파트 및 상업용 건물의 단열
- 화재 안전이 중요한 건축물 (예: 고층 건물, 다중이용시설).
PF보드의 장점 요약
- 단열 성능 최고: 얇은 두께로도 높은 단열 효과.
- 화재 안전성 우수: 불에 강하고 유독가스 발생이 적음.
- 친환경적: 오존층 파괴 물질 미사용.
- 경제적: 냉·난방비 절감 및 공간 활용도 증가.
PF보드의 단점 요약
- 단점 : 수분흡수시 열저항이 크게 감소하며 낮은 PH로 강철의 부식을 가속화하고, 잔류 포름알데히드의 존재로 잠재적인 건강과 안전에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폴리우레탄 필름의 접착문제 떄문에 편법시공이 생기고, 절단할 떄 박지가 떨어져 나와 수율이 크게 떨어집니다.
- 추천 제품:
- PF보드 (LG하우시스).
- 페놀폼 단열재 (벽산).
PF보드는 기존 단열재의 한계를 극복한 고성능 단열재로, 특히 화재 안전성과 단열 성능이 중요한 건축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6. 분무식 중밀도 폴리우레탄 폼
7.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재
8. 셀룰로오스 단열재
9. 열반사 단열재
단열재의 등급 분류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별표2] 단열재의 등급 분류
에너지 절약계획서를 제출할 때 열전도율의 범위에 따라 등급이 나뉘어지고 실의 용도와 위치에 따라 쓰이는 단열재가 달라집니다.
728x90
반응형